알고리즘 /Dynamic Programming
[백준] 욕심쟁이 판다_1937
장주아
2019. 7. 30. 04:29
중복 계산을 막기 위해 cache 리스트를 만들어 이미 계산한 값을 저장해둔다.
어떤 위치에서 판다가 오래 삼을 수 있다는 말은 조건에 맞게 dfs를 타고 갈 수 있는 경로도 길다는 뜻이다. 경로를 맞게 타고 갈 때마다 그 위치에서 또 갈 수 있는 경로를 탐색한다. 만약 어떤 위치에서 갈 수 있는 경로가 아예 없다면 ret은 1인채로 반환이 될 것이고, 이것은 그 위치에서 팬더가 하루밖에 못 산다는 것을 의미한다.
갈 수 있는 경로가 두 개 더 있는 상태라면?
ret = max(ret,panda(ny, nx)+1);
dfs를 따라 갔을 때 더 갈 수 있는 경로가 있으므로
ret = max(ret,panda(ny, nx)+1); 가 또 호출된다.
세번째 실행되는 dfs 함수에서는, 여기서 또 갈 수 있는 경로는 없으므로 panda(ny, nx) 결과 1이 반환된다. 그 결과 두번째 호출문에서는 2를 반환시키고, 맨 처음 호출문에서의 ret 값도 3이 된다.
1
2
3
4
5
6
7
8
9
10
11
12
13
14
15
16
17
18
19
20
21
22
23
24
25
26
27
28
29
30
31
32
33
34
35
36
37
38
39
40
41
42
43
44
45
46
47
48
49
50
51
52
53
54
55
56
|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string.h>
#include <algorithm>
using namespace std;
int n;
int boo[500][500];
int cache[500][500];
int dx[4] = { -1, 1, 0, 0 };
int dy[4] = { 0, 0, -1, 1 };
int MAX = 0;
bool isout(int i, int j) {
return i < 0 || j < 0 || i >= n || j >= n;
}
//cache : 그 위치에서 팬더가 앞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최대 일수
int panda(int y, int x) {
int& ret = cache[y][x];
if (ret != -1) return ret;
ret = 1;
for (int d = 0; d < 4; d++) {
int ny = y + dy[d];
int nx = x + dx[d];
if (isout(ny, nx)) continue;
//새로 갈 수 있는 경로까지 끝까지 가면서 그 위치에서 최대로 살아남을 수 있는 일수를 현재 위치에 저장
if (boo[y][x] < boo[ny][nx]) {
ret = max(ret,panda(ny, nx)+1);
}
}
return ret;
}
int main() {
ios_base::sync_with_stdio(false);
cin.tie(0), cout.tie(0);
cin >> n;
memset(cache, -1, sizeof(cache)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cin >> boo[i][j];
}
}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panda(i, j);
}
}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for (int j = 0; j < n; j++) {
if (cache[i][j] > MAX) MAX = cache[i][j];
}
}
cout << MAX;
return 0;
}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 target="_blank" style="color:#e5e5e5text-decoration:none">Colored by Color Scripter
|
http://colorscripter.com/info#e" target="_blank" style="text-decoration:none;color:white">cs |